오월단체-시민 토론회…고성 속 ‘반쪽’ 그쳐(광주드림)

작성자 : 518유족회

작성일 : 2023-09-14

조회수 : 815

5·18성역화 사업·특전사 동지회 언급 ‘금지’
5·18 특별위원회·광주시 ‘오월의 대화’ 개최


43주년을 맞은 5·18민주화운동이 직면한 현재의 문제를 논의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그동안 시민·시민단체 등이 주를 이뤘던 토론회와는 달리 처음으로 5·18 공법단체 3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가 참석해 용서와 화해 행사 등을 직접 거론하고 나섰다. 하지만 현재 5·18의 논란을 빚은 가장 큰 쟁점인 ‘5·18성역화 사업’과 ‘특전사 동지회’의 언급은 금지되면서 반쪽의 토론회에 그쳤다.

 광주시와 광주시의회 5·18특별위원회는 13일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5·18 공론화 토론회인 ‘오월의 대화’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정다은·강수훈 의원이 진행을 맡았고, 5·18민주화운동 3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와 5·18기념재단, 오월정신지키기 범시도민대책위원회,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등이 발표했다.

 시민과 시민단체, 5·18공법단체 모두 현재의 5·18의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선 공감했다.

 장세레나 오월정신지키기 범시도민대책위원회 상임대표는 “오월 정신을 훼손하고 시민의 보편적 정서에 반한 두 공법단체의 행보(특전사회와의 용서와 화해 대국민 공동선언)로 인해 오월 정신의 근본적인 도전과 위협에 직면했다”며 “오월을 온전히 시민들에게 돌려주고 시민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과 오월 정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 상임대표는 현재 오월이 직면한 문제로 5가지를 꼽았다. 먼저 정치적 풍파에도 흔들리지 않는 오월 정신을 위해 헌법 전문 수록과 역사왜곡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도한 당사주의로 인해 시민들이 오월에 대한 무관심과 신뢰 추락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오월 관련 주요 기관과 단체의 책임과 역할이 부재하다고 봤고,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활동 관련 지역사회의 정치력과 대응 부재, 오월 정신의 세대간의 굴절과 공감대가 부족한 것으로 봤다.

 이를 위해 공론의 장을 적극 활용해 오월이 직면한 문제의 공통점을 우선 순위로 선정해 지속적 토론으로 해법을 모색하자고 제언했다. 또한 오월 문제를 종합적, 체계적, 장기적으로 감당할 구심을 세워 미래세대가 오월을 다시 바라보는 계기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정성국 5·18부상자회장은 발언에 앞서 “5·18 안팎으로 시끄러워 대단히 죄송스럽다. 자중의 노력을 하겠다”고 사과했다.

 정 회장은 당초 토론회에 불참 의사를 밝혔으나 오월 문제에 공감하고 참석 의사를 재차 밝혀왔다.

 그는 5·18의 문제로 민족민주열사 묘역을 언급했다. 정 회장은 “또 당사자 주의라는 이야기가 나오겠지만 5·18과 관련이 없는 민족민주열사 분들이 들어서는 5·18성역화 사업은 백지화 돼야 한다”며 “그분들을 존경하고 훌륭한 것은 인정하지만 5·18묘지는 원형 그대로 가야지. 다른 주제가 들어서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발언 이후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도 나왔는데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기사 전체 내용 및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