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회, 사퇴 공문 발송…부상자회·공로자회 탈퇴 대열 합류
5·18민주화운동 유족회가 제44주년 5·18민중항쟁 행사위원회 탈퇴 대열에 합류하면서 공법단체의 행사위 불참이 공식화됐다.
오월 공법단체들이 내년부터 5·18기념행사의 주최·주관할 것을 예고한 반면 기존 행사위는 공법단체 없는 행사 추진을 예고해 갈등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공법단체인 5·18민주화운동 유족회에 따르면 유족회는 지난 9일 광주시와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에 '행사위원장단에서 사퇴하겠다'는 공문을 보냈다.
오월 3단체가 명실상부한 공법단체가 된 만큼 직접 정치적 색깔 없는 5·18기념행사를 주관해야만 5·18의 전국화, 세계화를 이룰 수 있다는 취지다.
양재혁 유족회장은 "그동안 오월 단체들은 행사위와 함께 기념행사를 추진해왔으나 내부적 마찰로 부상자회·공로자회가 행사위를 탈퇴하게 됐다"며 "유족회는 5·18기념행사위가 외부에서 볼 때 이권 다툼의 장처럼 비춰지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 공법단체들이 주축이 돼 모든 행사를 이끌어 나가는 것이 5·18의 전국화와 세계화를 위해 가장 바람직한 모습일 거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오월3단체는 광주시의회 5·18특별위원회 위원들을 초청해 앞으로 5·18민중항쟁 기념행사를 공법단체가 직접 주최·주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제까지 전야제를 비롯한 5·18민중항쟁 기념행사는 주로 진보연대가 중심이 돼 꾸며졌는데, 내년부터는 공법단체가 시민모금을 벌여 5·18기념재단과 시민사회단체 위주로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5·18민중항쟁 행사위는 올해 부상자회·공로자회가 내부적 논의 없이 특전사동지회와의 용서·화해 행사를 열었다며 행사위에서 제명했다.
부상자회·공로자회는 행사위의 자체 탈퇴를 천명하며 '당사자 없는 기념행사'라고 꼬집었다. 또 행사위원회가 주로 진보연대 회원들로 꾸려져 막상 5·18이 아닌 진보연대 행사처럼 진행되고 있고, 이 과정에서..(중략)
< 저작권자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기사 전문과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are@news1.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