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체 모두 탈퇴' 해결 안 되면 기념재단도 사퇴 검토
5·18 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에서 탈퇴한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를 다시 받아들이자는 의견이 행사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에 반발해 5·18 유족회까지 행사위 탈퇴를 결정했다.
5·18 기념재단도 3단체(부상자회·유족회·공로자회)가 모두 행사위에 참여하지 않는 상황이 올 경우 행사위 탈퇴를 검토하기로 해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20일 광주시와 5·18 관련 단체들에 따르면 5·18 유족회는 최근 공문을 통해 5·18 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행사위원장단에서 사퇴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위원장단 사퇴는 사실상 행사위 탈퇴를 뜻하는 것으로, 이달 초 열린 위원장단 회의에서 지난 2월 행사위에서 사퇴한 5·18 부상자회, 공로자회를 다시 받아들이자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지난 2월 특전사동지회의 '용서와 화해를 위한 대국민 공동선언' 개최 등으로 행사위 참여 단체들과 지금까지 갈등을 빚고 있다.
유족회는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를 포용해 내년 5·18 44주기 행사를 준비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나머지 단체들이 이에 반대했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회의가 끝났다.
양재혁 유족회장은 "특전사동지회 사죄 행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빚어졌으나, 오월 단체를 행사에서 배제한 것은 잘못이다"며 "5·18 3단체가 뜻을 모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사퇴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당시 위원장단 회의에 참여한 5·18 기념재단도 행사위 파행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이러한 갈등 상황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향후 위원장단 활동에 함께 하기 어렵다는 불참 의사를 밝혔다.
이기봉 5·18 기념재단 사무처장은...(중략)
저작권자 © 광주데일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사진 및 기사 전문은 하단 링크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