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 협조·피해자를 향한 사과 지속"
용서는 광주 시민 전체 공감대를 기반으로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특전사동지회와의 화해 행사로 촉발한 일부 5·18공법단체와 시민사회 간 갈등을 두고 '용서와 화해'의 의미를 조명하는 시민 토론회가 열렸다.
5·18기념재단은 22일 광주 서구 치평동 김대중컨벤션센터 2층에서 '5·18시민 대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는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 인사말, 기조 발표, 1·2차 시민 토론, 정리발표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에선 시민 100여명이 5·18진상규명, 5·18공법단체와 오월정신대책위원회의 입장, 사과와 용서 현안을 중심으로 토론을 이어갔다.
시민들은 가해자들의 진정성 있는 사과가 있어야 과거의 행위를 용서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진정성의 조건으로는 '진상규명에 대한 협조와 노력', '피해자가 용서할 때까지의 사과', '무엇이 잘 못 됐는지에 대한 정확한 반성'등을 꼽았다.
용서는 일부 공법단체만 하는 것이 아닌 ...
<기사 전체 내용 및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댓글 0